Urtuk: The Desolation

Urtuk: The Desolation

Not enough ratings
Urtuk 한글 가이드
By Ochestro
Urtuk: The Desolation 초보자용 한글 가이드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게임 소개
안녕하세요 오키스트로입니다.

Urtuk 은 턴제 전략시뮬 게임입니다. 앞서 해보기 단계이고 한글도 지원하지 않아 여러모로 하기 불편한 게임입니다만 나름 매력이 있습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미력하나마 한글로 가이드를 작성해 봅니다.

게임의 목적은 지하 깊숙한 실험실에서 미친 과학자의 실험으로 변이를 일으킨 주인공 Urtuk이 친구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자신의 치료약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는 단순한 스토리입니다. 초반 튜토를 끝내면 지도가 펼쳐지는데 일반 캠프가 있고 깃발이 걸려있는 공성전이 있습니다. 초반에는 캠프 위주로 전투를 해서 캐릭을 키우고 차츰 공성을 해서 성을 먹다 보면 다른 맵으로 통하는 보스전이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맵을 계속 이동해서 최종 보스전을 치루면 끝나는 게임입니다.
게임 플레이
처음에는 3명의 캐릭과 3개의 아이템을 선택해서 게임을 시작하여 최종 6명의 캐릭을 키워 전투에 나갈 수 있습니다. 난이도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6 vs 다수의 턴제 전략시뮬입니다. 아군의 수가 적기 때문에 최대한 지형을 이용해서 진형을 유지하고 "네가 와라" 식의 안정적인 운영이 필요합니다.

인간, swampers, forsaken, 뱀파이어, warbeasts, beasts 등의 종족이 있습니다만 저는 기본적인 인간 종족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약간의 트레잇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 비슷합니다.

캐릭마다 3개의 mutator 아이템과 1개의 focus ability 아이템을 장착합니다. 포커스 어빌리티는 기본적으로 캐릭마다 정해져 있지만 아이템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무기나 방어구는 클래스에 따라 착용 유무에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각 캐릭은 고유의 트레잇을 가지고 있습니다. 트레잇은 패시브 스킬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트래잇은 사용중인 뮤테이터를 absorption 흡수 할 수도 있고 ???로 표시된 트래잇은 전투중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습득하게 됩니다. 뮤테이터 흡수는 뮤테이터 아이템을 장착하고 계속 사용하다 일정전투 이상을 치루면 absorption 흡수해서 추가할지라는 팝업창이 뜨는데 그때 흡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클래스마다 뮤테이터를 트레잇으로 absorption 흡수 할 수 있는 갯수 제한이 있어 신중하게 선택 하셔야 합니다.

아뭏튼 캐릭터 아이템과 뮤테이터 셋팅 그리고 렙업시 주어지는 3개의 스킬 포인트를 배분하여 초 강력한 6개의 캐릭을 팀으로 짜 게임을 진행하는게 이 게임의 알파이자 오메가입니다.

맵에는 일반 캠프와 깃발이 달려있는 공성전이 있습니다. 일부 상황을 제외하면 각 캠프나 맵은 강제 전투가 아니므로 캠프 전투 위주로 캐릭을 성장시킨 후 6명의 캐릭과 어느정도 뮤테이터 셋팅이 끝나면 공성에 들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공성을 끝내면 특정 자원이 수급되며 it's your라는 깃발이 걸립니다. 자원은 시간이 지나면 고갈 됩니다. 공성을 끝낼때마다 전설 아이템을 줄때도 있고 여러가지 랜덤한 이벤트가 발생 합니다. 이 공성 중의 한곳에 다른 맵으로 통하는 보스전이 있습니다. 공성을 끝내고 보스전에 들어간다면 일단 중지하고 맵의 다른 공성을 끝낸 후에 (맵을 다 열고) 다른 맵으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직 열지 않은 공성에서 자원도 얻고 전설 아이템을 파밍해야 진행이 수월해집니다. 랜덤하게 렐릭 뮤테이터를 줄 때도 있습니다. 이 유물급 뮤테이터는 나름 강려크 하나 종류가 몇가지 없어서 비슷하게 매번 나올때가 많습니다. 이런 유물급 뮤테이터를 얻으면 트레저 헌터가 쫓아와서 강제 전투가 벌어집니다.

처음에는 3명으로 시작하지만 게임을 진행하다보면 여러 경로를 통해 동료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감옥에서 풀어주거나 용병을 고용하거나 전투에서 구해줘서 합류하거나 등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동료가 늘어나면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게 파티를 구성해서 주력으로 키우는게 좋습니다. 특정 캐릭은 wage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용병으로 고용하거나 전설급 케릭이 비용(주급)을 청구합니다. 이런 주급을 청구하는 캐릭은 나름 강려크 합니다. 남은 캐릭은 훈련을 시켜 렙업을 하거나 폐지수집을 보내거나 죽여서 자원으로 돌리거나 등등 미션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초반에 주력으로 캐릭을 키우다 보면 다른 캐릭을 후반에 키우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후반에 합류해서 레벨이 높더라고 트레잇을 달아주려면 또 노가다를 해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습니다. 그러니 초반에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적당한 케릭을 빨리 구해서 팀을 꾸리는게 좋습니다.
뮤테이터
기본적으로 각 캐릭은 3개의 뮤테이터와 1개의 포커스 어빌리티를 선택해서 장착할 수 있습니다.
뮤테이터는 트레잇과 같이 패시브 스킬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포커스 어빌리티는 액티브 스킬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 캐릭은 고유의 포커스 어빌리티를 가지고 있으나 뮤테이터로 포커스 어빌리티도 바꿔줄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제가 지금까지 이용했던 뮤테이터와 포커스 어빌리티를 사기급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각각의 뮤테이터는 레벨이 1 ~ 10까지 있습니다. 뮤테이터 레벨업은 동일한 뮤테이터를 합치거나 라이프 스톤을 사용하시면 올라가고 뮤테이터 자체의 스킬 수치가 올라가거나 패널티(1레벨 기준 피통 -10%)를 줄여줍니다.

1. light foot - 가벼운 발걸음입니다. swap 스왑 어빌리티를 업그레이드 해줍니다. 스왑은 모든 캐릭이 가지고 있는 스킬입니다. 근접한 아군 캐릭과 위치를 바꾸는거죠. 기본적으로 스왑을 하면 턴이 끝납니다만 이 라이트풋이 있으면 턴이 끝나지도 않고 캐릭 이동력이 남아 있는 만큼 이동을 하거나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적과 근접한 아군 원거리 유닛과 스왑해서 아군을 빼준 다음 적을 공격할 수도 있고(레인지 서포트도 받을 수 있음) 좁은 길목에서 스왑을 이용해 아군이 번갈아 적을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전략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뮤테이터입니다. 6개 주력맴버 모두 기본으로 장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제가 캐릭불문 필수라고 생각하는 뮤테이터 2개중 하나입니다.

2. stalwart - 번역을 뭐라 해야할지 참 난감한 단어입니다. 그냥 튼튼함이라고 하겠습니다. 당기기, 밀기, 방패 배쉬, 뒤로 던지기에 면역입니다. 정말 중요한 트레잇입니다. 이 게임은 기본적으로 6 vs 다수입니다. 베테랑난이도에서는 25~30명까지 나옵니다. 6명으로 저 인원을 잡으려면 각개격파는 필수에 진형잡고 "네가 와라" 전술이 어느정도 필요합니다. 이때 중요 진형을 잡은 탱커나 옆에 살짝 빠져있는 원거리 딜러가 당기기로 끌려간다거나 뒷쪽에 데드존으로 밀려 버린다거나 하는 불상사를 방지합니다. 다만 Ram 돌진은 면역이 아닙니다. 탱커는 무조건 필수에 저는 파티 6명 전부 추천드립니다. 원거리 딜러는 잘 도망다니면 없어도 괜찮을거 같지만 그게 쉽지 않습니다. 제가 캐릭불문 필수라고 생각하는 뮤테이터 2개중 두번째입니다.

3. ranged support - 화력지원. 원거리 무기가 필요합니다. 아군 근접유닛(플레이어 캐릭터만)이 공격할때 아군 교차사격 범위에 있지 않다면 공격 범위내의 화력지원을 달고있는 원거리 유닛 모두가 스테미너가 허락하는한 화력지원을 해줍니다. 쉽게 말해서 자기 턴이 아닌데도 아군 근접유닛이 적을 공격할때 한번 더 원거리 화력지원을 해준다는 뜻입니다.스트롱 vs 에 버서커, 더블스트라이크 등등 다른 트레잇과 동시 발동해서 2번 3번 4번까지도 쏩니다. 물론 스테미나가 받쳐줘야 합니다. 원거리 유닛은 무조건 필수 입니다. 소수대 다수의 싸움을 이기려면 적이 1번 때릴때 우리는 10번 때려야 하는 기본에 충실한 뮤테이터 입니다. 원거리 캐릭의 필수 뮤테이터입니다.

4. aegis - 이지스 제우스가 딸내미 아테나에게 줬다는 신의 방패입니다. 어떠한 공격이든
1회 무효화합니다. 프리스트 캐릭의 기본 포커스 어빌리티입니다. 도트뎀도 무효화 하지만 걸려있는 도트를 제거하지는 않습니다. 1회용이라 그닥 별로아냐? 라고 생각하신다면 오해입니다. 매 턴마다 1~2개 정도의 이지스가 꾸준히 발동됩니다. 물론 셋팅에 따라 다르겠습니다만 이정도면 매우 다양하게 전략적으로 이지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심지어 전 캐릭 이지스 달고 할때도 많습니다. 원거리 유닛 피통에 많이 투자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입니다. 기본적으로 파티에 1명 저는 2명까지 이지스를 포커스 어빌리티로 달고 다닙니다.

5. bleeding criticals, acid, poisonous criticals - 출혈, 산성 그리고 독 도트 3종 셋트입니다.
때리는 횟수가 제한적이다 보니 도트는 준필수 뮤테이터 입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출혈이 제일 쓸만하고 산성은 있으면 좋다 독은 구지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출혈은 기본적으로 매턴 최대 피통의 5%데미지이지만 추가로 때릴때마다 최대 피통의 10%를 깝니다. 후반가서 듀얼달고 4~6대씩 패면 4000 피통 몹 반피 정도가 출혈로 빠지는 겁니다. 데미지 효율면에서 제일 좋습니다. 산성은 갑옷보호 35% 까는건데 없는거 보다는 낫습니다. 독이 이중에서 제일 별로라고 봅니다. 매턴 최대 피통의 15% 데미지라 수치상으로는 높은데 이는 다음 몹의 턴이 돌아와야 데미지가 입기 때문에 보통 몹 턴 돌아오기 전에 일점사해서 죽이는 게임의 특성상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6. improvizer - 즉시발동 정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뮤테이터는 캐릭과 포커스 어빌리티를 좀 많이 탑니다. 보통 포커스 어빌리티가 발동 되면(때리거나 맞으면 포커스 게이지가 차고 만땅차면 발동) 좌측 하단에 포커스 어빌리티 아이콘이 뜨고 액티브 스킬처럼 사용하는데 이 임프로바이저를 달고 있으면 본인한테 하나 즉시 발동 되고 또 사용이 가능합니다. 즉 2개를 쓸 수 있는데 한개는 자기한테 자동으로 다는 겁니다. 이게 이지스하고 그렇게 궁합이 좋습니다. 프리스트 본인 걸고 남하나 걸어주고 가서 몸빵하다 또 발동하면 자기 걸고 남 달아주고 정말 마르지 않는 이지스를 볼 수 있습니다. 딜러하고는 좀 안맞습니다. 이거보다는 다른거 좋은게 많기 때문이죠.

7. last stand - 최후의 저항 와우 전탱의 최후의 저항이 생각나는 포커스 어빌리티입니다. 죽을 수 있는 막타가 들어와도 피 2남기고 살려줍니다. 추가로 근접유닛이고 주위에 팰 적 유닛이 있으면 스테미나 풀로 채워주고 200% 피를 빨아옵니다. 저 200%는 데미지의 200%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뭏튼 피를 채워줍니다. 근접유닛의 최후의 보루입니다. 특히 유리몸인 버서커나 어쌔신에게 좋습니다만 원거리 유닛도 죽지는 않게 해주기 때문에 파티에 한명 정도는 셋팅 하는게 좋습니다. 단점으로는 최후의 저항이 발동하면 최대 피통의 25%가 줄어듭니다. 두번 발동하면 1000피가 500피가 되는 겁니다. 남발하면 좋지 않지만 없으면 나름 에로사항이 있습니다.

8. flesh eater - 살점흡입기 근접한 적 또는 아군 유닛이 죽을 경우 최대 피통의 10레벨기준 43%를 2턴 도트힐로 주고 1회용 42% 보너스 데미지를 줍니다. 근접유닛의 최애 뮤테이터입니다. 버서커나 어쌔씬에게 달아주면 아주 좋습니다. 프리스트 힐이 자기 피를 깎아 남을 힐해주는거라 프리스트 본인 피통이 적을때 자힐 용으로 쓰기도 좋고 이 게임이 데미지를 높이는 방법이 많지 않기 때문에 뎀증용으로도 좋습니다.

9. feast - 향연 축제 잔치 등등 뭐 피의 향연정도 되겠습니다. 적 유닛이 죽으면 최대 피통의 일부분을(레벨에 따라 다름) 2턴 도트힐로 채워줍니다. 살점흡입기가 근접유닛 자힐용이라면 이 피의 향연은 원거리 유닛용 자힐기입니다. 1명 죽인 시점부터 전투 끝날때까지 자힐 도트 달고 있습니다. 물론 죽지 않을 정도는 아니지만 1턴 버티는 용도는 충분합니다.

10. revitalizer - 재활력기 포커스 게이지가 만땅차면 즉시 피통의 43%(10레벨 기준)을 채워줍니다.
집중력에 올인한 프리스트가 자이언트 하트 렐릭 뮤테이터 달고 이 재활력기 달면 좀비 됩니다. 죽지를 않습니다. 거기에 엔젤팩 있고 최후의 저항 달아주면 무한 이지스 공급 좀비 됩니다. 가디언 보다도 안죽습니다.

11. blood lust II - 피의 욕망 2 적 유닛을 막타쳐서 죽이면 피통의 70%를 즉시 힐해줍니다. 어쌔씬이나 버서커 같은 맞으면서 막타 치기 좋은 캐릭하고 궁합이 매우 좋습니다. 보통 버서커는 가디언이 항상 옆에서 쉴드 걸어주는게 좋지만 어쌔신은 적 원거리 유닛 암살하러 혼자 돌아다니는 경우도 가끔 있기 때문에 피의욕망2 있으면 듀얼걸고 맞으면서 패 죽이고 피 채우고 듀얼걸고 맞으면서 패 죽이고 피 채우고 반복 패턴하기 나쁘지 않습니다.

12. duelyst - 맞짱까기 첫타 치고 맞짱이 시작돼서 3번씩 서로 치고 받습니다. 어쌔씬의 기본 포커스 어빌리티 입니다. 기본적으로 첫타 후 3번이라 4대 이지만 여기에 각종 트레잇 적용되면 6 ~ 7번까지도 팹니다. ㅎㄷㄷ한 포커스 어빌리티입니다만 그 만큼 팰수 있는 스테미나와 생존수단이 따라 줘야 합니다.

13. natural resistance - 자연 저항력 각 턴이 시작되면 걸려있는 출혈과 독을 제거해줍니다.
적도 아군에게 출혈, 독을 겁니다. 포이즌 저항 트레잇 달기 전까지 독 쓰는 적 만날때 교차로 써주면 좋습니다.

그 외 유용한 트레잇으로는 민첩 높여주는 athletic나 데미지 줄여주는 meat shield 고기방패도 가이언이 쓰기 좋구요 헌터용으로 immobilizing criticals 고정샷? 마비샷? 도 나름 쓸만한거 같습니다.

렐릭 뮤테이터 유물급 뮤테이터는 소개하지 않았습니다. 여러가지가 있으니 좋은거 얻으시면 적절히 셋팅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같은게 중복으로 나올때가 많습니다.
캐릭터
굉장히 여러 종족이 있습니다. 인간, swampers, forsaken, 뱀파이어, warbeasts, beasts 등등 게임 시작시 선택하지 못하는 종족도 인게임중에 용병이나 기타 등등의 방법으로 구해서 데리고 다닐 수 있습니다. 다만 저는 게임 시간이 얼마 되지 않아 인간 종족만 해봤기에 여기서는 인간 종족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각 캐릭은 레벨업을 하면 3의 스탯 포인트가 주어집니다. 경형치를 많이 먹는 방법은 확실하진 않지만 경험상 막타를 많이 치면 레벨업이 빠른거 같습니다. 암튼 스탯 포인트를 어떻게 분배 하느냐도 팀을 셋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가지의 스탯이 있습니다.

Str - 힘 데미지를 증가시켜 줍니다. 힘4를 기준으로 100%잡고 1포인트당 2.5% 증가해줍니다.

Vit - 체력 1포인트당 피통 32를 올려줍니다.

Agi - 민첩 스테미나 2를 올려주고 턴이 빨리 오게 합니다.

Con - 집중 포커스 게이지가 차는 속도를 올려줍니다.

4가지 스탯중에 가장 중요한 스탯은 민첩입니다. 모든 행동을 할때 스테미나가 소비 됩니다. 공격, 지형 변화시킬때, 덫 깔때, 화력지원 할때, 방패 보호 해줄때 등등 스테미나가 딸리면 공격 찬스를 잡고도 그냥 놓치게 됩니다. 그래서 민첩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 캐릭이 어느정도 스테미나를 확보 한 다음에 그 다음 스탯에 투자 하는게 좋습니다. 턴 빨리 오는건 덤입니다. 스탯 배분은 아래 캐릭 설명에서 자세하게 들어가겠습니다. 참고로 스탯포인트는 비용을 소모하여 언제든지 리셋 할 수 있습니다.

Priest - 프리스트, 사제

자기 피를 자원으로 이용하는 근접 힐러입니다. 자신의 피를 소비하여 아군에게 각종 버프를 제공해주고(흡혈공격, 이지스, 희생의 힐) 일제공격인 lead를 기본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 포커스 어빌리티는 이지스입니다. 이 게임은 회복 수단이 많지 않기 때문에 파티에 1명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존재입니다. 스탯은 집중력 위주로 체력을 보조해서 집중 2, 체력 1 정도로 찍어줍니다. 데미지를 많이 주는 용도로 패는게 아니고 포커스 게이지를 채우는 용도로 패는거라 1대만 때려도 포커스 게이지 팍팍 올라갑니다. 맞아도 올라가구요 그래서 버티며 이지스 채우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improvizer 있어서 개인 생존도 좋습니다. 이지스 셔틀입니다. 전 캐릭 기본적으로 light foot 과 stalwart는 기본으로 깔아주고 추가로 즉힐해주는 revitalizer나 피통올려주는 뮤테이터 위주로 착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Guardian - 가디언, 방패전사

와우의 방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파티의 수호자 탱딜힐의 강력한 탱커입니다. 매우 다양한 스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bash 방패밀기, bash and move 방패로 밀고 이동하기, shield ally 방패보호 기본 포커스 어빌리티도 shield ally 방패보호 입니다. 프리스트와 마찮가지로 파티에 1명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존재입니다. bash로 데드존에 적을 밀거나 하는 것도 좋지만 뭐니뭐니해도 가디언의 존재이유는 방패보호입니다. 60 스테미나를 소모해서 근접한 아군에 방패보호를 걸어주고 턴을 종료하면 스테미나가 끝날때까지 피보호자를 보호합니다. 쉽게 말해서 버서커나 어쌔씬이 듀얼걸고 적 팰때 적의 반격을 가디언이 보호해 준다는 얘기입니다. 문제는 적의 반격을 가디언이 맞아줘도 데미지를 입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찮가지 입니다. 적도 가디언과 비슷한 클래스가 있을 경우 방패보호를 적군에게 사용합니다. 그래서 초반에 버서커나 어쌔씬과 1 + 1 개념으로 딱 붙어서 다니면 좋습니다. 포커스 어빌리티의 방패보호는 아군아무에게나 걸어줄 수 있는데 이 경우
걸어준 캐릭 옆에 아군 캐릭이 랜덤하게 대신 보호해줍니다. 물론 노데미지입니다. 이것도 나름 유용합니다만 가디언은 포커스 게이지 찰 일이 별로 없어서 자주 쓰이지는 않습니다. 스탯은 방패보호 1번마다 60 스테미나를 소모하기 때문에 당근 스테미나 쪽으로 투자해서 민첩 2, 체력 1 또는 체력을 올려주는 뮤테이터가 많을 경우 민첩 올인도 나쁘지 않습니다. 탱커기 때문에 light foot 과 stalwart는 기본으로 달아주시는게 좋습니다. 나머지는 데미지 감소나 체력증가 또는 민첩증가 뮤테이터를 상황에 맞게 달아주시면 되겠습니다.

Berserker - 버서커, 베르세르크, 광전사

강려크한 바이킹 광전사를 생각나게합니다. 초반 매우 강력한 근접 딜러 입니다. berserker duelyst를 기본 트레잇으로 고정 장착하고 포커스 어빌리티는 rend armour입니다. 버서커 맞짱 트레잇으로인해 무조건 기본공격이 2대 입니다만 적이 한번 보복 공격을 하기 때문에 유리몸인 버서커로서는 양날의 검인 셈입니다. 포커스 어빌리티인 rend armour은 아군에게 걸어주면 공격목표의 갑옷 보호는 줄여주는 효과인데 쓰레기이니 lastman standing이나 기타 다른 포커스 어빌리티로 교체해주는게 좋습니다. 공격력은 좋지만 물몸이기 때문에 항상 가디언의 방패보호를 받거나 공격전에 이지스를 달아 주는게 좋습니다. 그럴경우 critical counterstrike 뮤테이터를 달아주십시오. 크리티컬 카운터스트라이크 뮤테이터는 적의 공격을 이지스로 방어하거나 방패보호를 하면 추가로 1타를 크리티컬로 반격합니다. 버서커는 기본적으로 armour shatter 갑옷 부시기 효과가 높기 때문에 갑옷
둘둘 두른 valdor 종족 상대할때 매우 강려크합니다. 스탯은 기본적으로 많이 때려야 하는 캐릭이기 때문에 민첩을 최소한 200 정도는 투자해야 한대 40 * 5 = 200 으로 5대 정도 팰수 있습니다. 듀얼걸고 스트롱 터지고 방패보호 걸려있으면 더 팰 수도 있습니다. 애초에 물몸이라 가디언 1 + 1으로 붙어 있다면 체력을 1500정도 투자하고 나머지 힘으로 하시거나 취향대로 올리시면 됩니다. light foot 과 stalwart 고정에 flesh eater, bleeding criticals, critical counterstrike 등 자힐과 공격력 위주로 셋팅하시고 포커스 어빌리티는 이지스 추천합니다. 집중이 낮아도 기본적으로 많이 패기 때문에 포커스 게이지가 쭉쭉 찹니다. 프리스트와 2인 무한 이지스 가능합니다.

Javelinier - 자벨리너, 음 투창병 정도 되겠습니다.

원거리 캐릭중에 제가 선호하는 캐릭입니다. 창을 던지는 원거리 유닛입니다. 사정거리는 3칸이고 지형에 따른 아군 교차사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타일을 올리거나 내리는 지형변화 스킬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 포커스 어빌리티는 hastening 입니다. 아군에게 보너스 스피드를 줘서 턴을 빨리 오게 합니다. 헌터보다 한방은 약하지만 아군 교차사격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강려크한 점과(아주 없는건 아닙니다) 지형을 변화해서 공성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거나 지름길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다재다능함이 이 캐릭의 장점입니다. 단점은 한방이 헌터보다 약하고 사거리가 1칸 적다입니다. 아군 교차사격 friendly fire에 대해서 설명드리면 헌터는 크로스보우 직사 화기를 사용하고 자벨리너는 자벨린 투창 곡사화기를 사용합니다. 목표인 적과 직사화기인 헌터의 일직선상에 아군이 있다면 아군이 맞습니다. 또는 레인지 서포트 찬스에 공격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헌터는 한방이 강력하고 사거리가 4칸입니다. 전장이 막 어수선하고 그럴때 아군 교차사격 피해서 헌터가 자리잡기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자벨리너를 선호합니다. 스탯은 민첩을 일단 올려서 ranged support 화력지원을 빵빵하게 해줍니다. 피통도 한방에 죽지 않을 만큼 1000이상 올린 후 힘에 투자하는건 추천 드립니다. 초반에는 민첩 3내지 민첩 2, 체력1로 가다가 일정 레벨레 오르면 민첩 240 피통 1200정도 나머지 올힘 추천드립니다. 포커스 어빌리티는 berserker나 double strike 추천 드립니다. light foot, stalwart, ranged support 3가지 고정에 나머지는 자힐용 feast나 공격력 올려주는 뮤테이터 달아주면 좋습니다. 도트 3종중 하나는 반드시 달아주세요. bleeding criticals 추천합니다만 acid도 나쁘지 않습니다

Hunter - 헌터, 사냥꾼

두번째 원거리 캐릭입니다. 덫을 설치하는 스킬을 가지고 있고 포커스 어빌리티는 critical strike입니다. 덫에 걸린 적 유닛은 일정 턴 움직이지 못하며 덫을 설치하는데 50스테미나를 소모합니다. 포커스 게이지가 만땅차면 자동으로 발동되는 aimed shot을 트레잇으로 달고 나옵니다. 포커스 게이지 만땅차면 크리티컬 걸고 에임드 샷으로 제법 쎈 뎀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술했듯이 아군 교차사격을 피해서 자리잡기가 쉽지않고 덫보다는 지형변화가 더 좋아 많이 사용해보지 않았습니다. 크로스 보우 계열중에서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전설 Marksman Victor이나 revenant crossbowman을 사용하심이 더 좋다고 봅니다. 저 두 친구는 갑옷을 입고 있고 트레잇도 일반 헌터보다 좋습니다. 스탯이나 뮤테이터는 자벨리너랑 비슷하게 셋팅하시면 됩니다.

Spearman - 스피어맨, 창병

근접 장창병 탱커겸 딜러입니다. 비슷하게 Footman 보병이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스피어맨은 약간 방어 스타일이고 풋맨은 공격적인 스타일입니다.taunt 타운트 와 spearwall 창벽 스킬을 가지고 있고 기본 포커스 어빌리티는 provoke입니다.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나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케릭입니다. 도발 기술인 taunt 타운트와 강력한 탱킹 기술인 spearwall 창벽으로 전선을 구축해 후방의 원거리 유닛을 보호 할 수 있습니다. spearwall 창벽기술은 트리거 기술로 한번 키면 끌때까지 작동합니다. 스테미나가 되는한 접근하는 적을 공격해서 접근을 차단합니다. 뛰어들면서 덤비는 charge 돌격은 차단하나 ram 돌진은 차단하지 못합니다. 참고로 1막 보스가 charge를 여러번 뛰면서 난동부리는데 스피어맨이 창벽으로 막고 있으면 1번 뛰다가 차단당합니다. 갑옷도 착용하고 있어 나름 딴딴한 몸빵을 자랑합니다. 스피어 월을 극대화 하기 위해 어느정도 민첩은 투자를 해야 합니다. 나머지는 공격보다는 체력을 올리시는게 좋습니다. 기본 포커스 어빌리티인 provoke 는 근접한 적군 유닛의 어그로를 끄는 도발 스킬입니다. 취향에 따라 그냥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light foot, stalwart 고정에 flesh eater 또는 체력이나 민첩 올려주는 뮤테이터 셋팅하시면 되겠습니다.

Footman - 풋맨, 보병

billhook을 무기로 사용하는 근접 보병 캐릭입니다. 빌훅은 큰 낫이라고 하네요 -0- 상술한 스피어맨과 비슷하지만 약간 공격적인 스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Ram 램이라는 돌진은 3칸 밖의 적으로 돌진해서 1타일 밀어 버립니다. 중간에 방해물 없어야 하며 적 뒤의 데드존에 밀어버리면 효과가 좋습니다. 3가지 고정 트레잇을 달고 나오는데 나름 쓸만합니다. engaging strike 인게이지 스트라이크는 근접한 적 유닛을 공격하면 사슬로 묶어 버립니다. 묶인 적은 도망가려할때 공격당하고 도망 못갑니다. 물론 공격할 수 있는 스테미나가 있어야 합니다. projectiles deflector 프로젝틀스 디플렉터 음...뭐랄까 투사체 활이나 창 등의 방향을 바꾸게 합니다. 투사체 쳐내기 정도겠네요. 적 원거리 유닛이
발사한 활이나 창을 빌훅으로 쳐냅니다. 스테미나가 1이상 있어야 합니다. 이게 좋은게 꼭 자신한테 쏜게 아니더라도 자기를 지나 아군한테 날아가는 것도 쳐냅니다. 물론 반대로 적들도 이 트레잇을 가진 애들이 있습니다. long weapon reach 롱 웨펀 리치 긴 무기 사거리 적을 공격하면 바로 뒤의 적까지 데미지를 받습니다. 이게 좋은게 앞에서 맞는 애는 갑옷의 뎀감을 적용 받는데 뒤에 맞는애는 갑바가 짱짱해도 피어싱 갑옷 무시 뎀이 들어갑니다. 반대로 우리가 맞아도 많이 아픕니다. ㅠ_ㅠ
스피어맨하고는 반대로 공격적인 스타일이시면 풋맨 괜찮습니다. 갑바도 튼튼합니다. 아 참고로 스피어맨은 갑옷이 갑바 한개고 풋맨은 갑바랑 뚜껑 두개고 가디언은 뚜껑과 방패입니다. 착용 갑옷이 많을 수록 레전더리 전설 갑옷에 달려있는 추가 트레잇을 공짜로 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암튼 이 친구도 민첩이 높아야 인게이징으로 붙여놓은 놈을 도망 못가게 합니다. 적당히 스피어맨 참고하시고 개인 취향에 맞춰서 셋팅 하시면 되겠습니다.

Warmonk - 워몽크, 전쟁수도사

maul 마울 양손빠따를 사용하는 근접 유닛입니다. 참 이친구는 여러번 써보려 했는데 뭔가 쓸려면 팀 전체 셋팅을 손봐야 할거 같아서 조만간 써볼 예정입니다. 빠따의 장점은 스턴입니다. 스턴에 걸린적을 때릴때 3배 뎀지를 주는 뮤테이터랑 같이 쓰면 괜찮을거 같긴한데 너무 물몸이라 적진에 들어가는 순간 끽이고 생각보다 스턴이 잘 터지지 않습니다. 연구좀 해보고 업뎃 하겠습니다.

Bloodknight - 블러드나이트, 혈기사

이 친구도 워몽크와 같이 아직 제대로 써본적이 없습니다. 차후 업뎃 하겠습니다.

Assassin - 어쌔씬, 암살자

템을 갖추지 않은 초반에는 사용하기 힘드나 어느정도 템을 맞춘 중반 이후에는 혼자 무쌍찍는 이 게임 최고의 적폐 캐릭입니다. 어쌔씬도 좋지만 이 친구와 상위 호환인 Valdor assassin 을 어떻게든 구해서 사용해 보시기를 강력 추천드립니다. 어쌔씬은 두가지 트랩을 사용합니다. 어쌔씬 마크 트랩과 스파이크 트랩입니다. 어쌔씬 마크 트랩은 설치 후 적이 밟으면 사거리내의 모든 유닛이 공격하는 일명 다구리 트랩이고 스파이크 트랩은 밟으면 즉뎀을 주는 트랩입니다. 둘 다 자리잡고 "네가 와라" 전법에 아주 유용하며 효과가 매우 좋습니다. 지구촌 친구들 중에 3어쌔씬으로 스파이크 트랩 줄줄이 깔고 밟아 죽이는 친구들도 봤습니다. 트레잇이 많은데 그중 swift hands 스윕 핸즈 백스텝 이후 즉발 추가 공격, mudering sense 머더링 센스 적을 죽이면 추가공격기회 추가, 포커스 어빌리티 duelyst 듀얼리스트에 추가로 strong vs 추가공격가지 더해지면 한번에 4 ~6 많게는 그 이상도 팰때가 있습니다. 스테미나만 충분하다면야 다른 캐릭이 띄우는 버서커나 더블스트라이크 포커스 달고 무지하게 팹니다. 정말 죽을때까지 팹니다. 인간 어쌔씬은 검을 들어서 갑옷 부수기 효과가 적지만 창을 들고 패는 valdor assassin은 갑옷 부수기도 쌔서 갑옷이든 언아머든 다 뚜려 팹니다. 그래서 민첩을 많이 투자해서 200이상 줍니다. 한방에 40 * 5 =200입니다. 뮤테이터 좋은거 있으시면 더 줘도 됩니다. 40*6=240정도 민첩주고 한방에 죽지 않을 정도로 피통올리고 올힘 공격입니다. 많이 패는 만큼 많이 맞습니다. 이를 위해 항시 라스트맨 스탠딩이랑 이지스 걸어주시고 뮤테이터는 플래쉬이터, 블러드 러스트2 등으로 자힐과 공격력을 챙겨줍니다. 물론 상술했던 light foot, stalwart는 기본입니다. 가디언 방패보호 있으면 금상첨화입니다. 날라다닙니다. 참고로 저는 valdor assassin을 블랙마켓에서 용병으로 구입해서 사용합니다. 이 친구 트레잇이 사기입니다. 액션맨 - 포커스 만땅차면 담공격 크리티컬, 슬래터러 - 포커스 게이지 차 있는 상태에 따라 공격력 추가(예를들어 포커스 게이지가 80%면 공격력 80%추가 게이지에 따라 매번 공격력 바뀜), 린처 - 포커스 게이지 만땅 찰때마다 10% 공격력 증가 중첩가능, 마인드오브지니어스 - 집중 25증가를 줄줄이 달고 있습니다. 창들고 있어서 갑옷 부수기도 250%에 집중도 높은데 듀얼이랑 다른애들 포커스 더블 스트라이크 버서커등 달고 패면 포커스도 빨리 차고 포커스 100%찰때마다 듀얼 생기고 공격력 10% 증가하고 중반쯤되서 린처 공격력 120%증가하고 애들 패면 7,000 ~ 8,000 크리티컬도 뜨는 아주 적폐캐릭입니다. 피통 10,000넘는 애들이 2 ~ 3방을 못버팁니다. 다만 초반에는 어쌔씬 키우기가 매우 힘드니 어느정도 뮤테이터를 갖추고 키우시기를 권장합니다.
그 외 팁~
1. 캐릭을 키우다 보면 strong vs 뜨면서 강력한 공격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 나와있는 캐릭 트레잇중에 조건을 만족해서 발동하는 트레잇인데 스트롱 뒤에 뭐가 뜨느냐에 따라 금캐냐 망캐냐가 갈립니다. 공격중에 스트롱이 뜨면 추가 데미지를 주거나 추가 공격을 하는 매우 중요한 트레잇입니다.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 괜찮은게 bleeding, armour, poisoned(이 포이즌은 에시드나 포이즌이 걸려 있는 유닛에 발동합니다.), 원거리 유닛 저격은 ranged 등이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 주캐릭인데 스트롱이 좋게 떴다 하시면 잘 키우시기 바랍니다.

2. 뮤테이터는 레벨이 있습니다. 1레벨에는 -10% 피통 패널티가 붙어있습니다. 레벨을 올리면 패널티가 사라지고 피통이 증가합니다. 부속 효과도 증가하니 주캐릭 뮤테이터는 꼭 레벨을 올리시기 바랍니다. 뮤테이터 레벨 증가는 같은 뮤테이터를 합치거나 라이프 스톤이랑 합치면 됩니다.

3. 뮤테이터 중에 evolution stone 이볼루션 스톤이 있습니다. 이걸 캐릭터 뮤테이터 창에 장착하고 미션에 이볼브 선택하신 후 하루 지나면 해당 캐릭의 트레잇중에 레벨을 올릴 수 있는 트레잇 한개가 랜덤하게 레벨이 오릅니다. 주캐중에 그닥 레벨을 올릴 트레잇이 아마 없을 겁니다. 그냥 뽀개서 라이프 에센스 얻는게 더 좋습니다.

추가로 death stone 데스스톤이라는 뮤테이터도 있습니다. 이건 캐릭을 죽여서 특정 뮤테이터를 흡수해주는 스톤입니다. 예를들어 앞장의 캐릭소개에 valdor assassin 의 린처 트레잇이 너무 좋아 보여서 그걸 빼서 내 인간 어쌔씬에게 달아주고 싶다면 발더 어쌔씬에 데스스톤 달고 미션에서 부처로 죽이면 흡수됩니다만 여러개 중에 랜덤으로 흡수됩니다. 그러니 신중하게 흡수하시고 이게 영원한게 아니라 일정시간 지나면 그냥 돌이 되니 또 흡수해야 합니다.

4. 맵을 돌아다니며 공성하다가 보스전이 뜨면 그냥 나갔다가 리로드 해서 맵을 다 밝히고 다음 맵으로 넘어가시는게 좋습니다. 공성하다보면 레전더리 템이나 뮤테이터를 많이 주기 때문에 가급적 공성은 다 하고 넘어가십시오.

5. 돈이 모자르면 템을 뽀개거나 뮤테이터 살 라이프 에센스가 부족하면 필요없는 뮤테이터를 갈아버리세요. 오른쪽 하단 뽀개기에 드래그 하시면 됩니다.

6. 비스트들이랑 쌈하다 맞은 캐릭중에 가끔 뭔가 이상해라고 하는 캐릭은 조만간 비스트로 변이합니다. 당황하지 마시고 미션에 보시면 치료하기 있으니 며칠 지나면 치료되서 돌아 옵니다.

7. 가끔 레전더리 용병이 어디 떴다고 메세지가 뜹니다. 맵의 어느 곳에 있다 라고 하면 그쪽 캠프를
잘 찾아보세요 레전더리 용병하고 싸워 이기면 초상화도 유니끄한 용병을 고용할 수 있습니다.

8. 전투시 맵은 랜덤입니다만 공성은 몇가지 패턴이 반복되는거 같습니다. 조금 맵 위치가 맘에 안든다 하시면 리로드 하세요.

9. 전투시 진형을 잘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턴이 아까워서 혼자 나가서 때리다 죽는거보다는 진형을 유지하고 대기해서 오는 적을 잡는게 좋습니다. 턴을 넘기면 페이션 인내 트레잇이 발동해서 담 공격은 크리티컬이 뜹니다.

다키스트 던전 느낌나는 나름 괜찮은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인데 한글도 아니고 지명도도 없다보니 한국분들은 많이 안하시는거 같습니다. 저는 연구해볼 것도 많고 조합 구성하는 재미도 있어 나름 괜찮게 했습니다. 다만 UI가 너무 후지고 맵이 매번 비슷하다 보니 쉽게 질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어랑 러시아어 가이드만 몇개 있길레 허접하지만 몇자 끄적여 봤습니다. 암튼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계속 업뎃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6 Comments
kiwoo104 5 Jul, 2021 @ 10:36pm 
훌륭합니다. 가이드
kkt8693 5 Jul, 2021 @ 9:08am 
감사합니다. 다음 글도 기대됩니다. 그리고 빨리 한글화 하면 좋겠네요
Lampros 13 Mar, 2021 @ 11:25am 
In fact, this was the best overall guide on Steam.
Lampros 13 Mar, 2021 @ 11:23am 
Thanks for this guide; I learned much from it!
IngCha 17 Feb, 2021 @ 9:41am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추후 다른 종족 업뎃도 기대합니다.
X1024 9 Feb, 2021 @ 7:58pm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